맨위로가기

제주도 고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도 고비는 제주도 일원에 소재한 비석들을 지칭하며, 제주 역사 및 지방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제주특별자치도 향토유산으로 지정된 비석들은 삼도이동, 용담1동, 이도일동, 삼양삼동, 화북일동, 건입동, 외도이동, 오라일동 등 제주시와 서귀포시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이 비석들은 조선시대 제주 지역을 다스렸던 관리들의 업적을 기리거나, 제주향교 관련 내용, 또는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비 - 오벨리스크
    오벨리스크는 고대 이집트에서 태양신을 상징하던 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사각 기둥 모양의 석조 건축물로, 로마 제국 시대에 약탈되어 권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석비 - 당번회맹비
    당번회맹비는 티베트의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아우르는 문서를 포괄하며, 티베트 제국 시기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지배에 이르기까지 티베트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된 주요 조약 및 문서들을 다룬다.
제주도 고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제주도 고비
유형향토유산
지정 번호12
지정일2013년 12월 27일
주소제주도 일원
소유자제주시장, 서귀포시장
관리자해당 읍면동장
수량41기

2. 지정 사유

제주도 일원에 소재한 고비(古碑)들은 제주와 관련된 역사적 인물 및 사적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어, 제주 역사 및 지방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1]

3. 세부 내역

(문화
예술과)12-2호사상정기원거사비삼도이동 43-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문화
예술과)12-3호사상조희순영세불망비삼도이동 43-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문화
예술과)12-4호사상백희수휼민선정비삼도이동 43-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문화
예술과)12-5호영상이최응영세불망비삼도이동 43-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문화
예술과)12-6호사상양헌수영세불망비삼도이동 43-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문화
예술과)12-7호수령이하개하마비삼도이동 43-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문화
예술과)12-8호목사김몽규존성사사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9호사상심영석이건향교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10호사상이행교사학개건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11호사상장인식숭유우문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12호어사심동신거사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13호목사조희순교궁수개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14호목사백낙연흥학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15호사상홍규대사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16호목사심원택흥학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17호대소인하마비용담1동 298-11제주향교제주시
(용담1동)12-18호귤림서원묘정비이도일동 1421-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이도일동)12-19호향현사유허비이도일동 1421-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이도일동)12-20호노봉김선생흥학비이도일동 1421-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이도일동)12-21호충암김선생적려이도일동 1421-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이도일동)12-22호우암송선생적려유허비이도일동 1421-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이도일동)12-23호조두석유허이도일동 1421-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이도일동)12-24호삼성혈표지석이도일동 13131고양부삼성사재단고양부삼성사재단12-25호성주왕자도내고씨곤제매안소이도일동 13131고양부삼성사재단고양부삼성사재단12-26호사상이행교거사비이도일동 13131고양부삼성사재단고양부삼성사재단12-27호목사장인식추사비이도일동 13131고양부삼성사재단고양부삼성사재단12-28호목사이현공추사비이도일동 13131고양부삼성사재단고양부삼성사재단12-29호목사윤구동청덕거사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12-30호사상이의식선정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12-31호사상양헌수선정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12-32호사상백낙연영세불망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12-33호목사김정비화북일동 1619-6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화북동)12-34호고서흥비건입동 1130-2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건입동)12-35호사상김정청덕휼민만세불망비외도이동 2552-71건설부제주시
(외도동)12-36호사상윤구동휼민선정비외도이동 2552-71건설부건설부12-37호사상양헌수선정비외도이동 2552-71건설부건설부12-38호농은거사전영준기념비오라일동 1137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오라동)12-39호사상한응호거사비삼도이동 43-3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문화
예술과)12-40호경주김씨지려중문동 27741건설부서귀포시
(중문동)12-41호부종인 묘비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6321제주부씨대종회서귀포시
(성산읍)


3. 1. 제주시 지역 비석

(삼양동)2013년 12월 27일사상이의식선정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2013년 12월 27일사상양헌수선정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2013년 12월 27일사상백낙연영세불망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2013년 12월 27일목사김정비화북일동 1619-6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화북동)2013년 12월 27일고서흥비건입동 1130-2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건입동)2013년 12월 27일사상김정청덕휼민만세불망비외도이동 2552-71건설부제주시
(외도동)2013년 12월 27일사상윤구동휼민선정비외도이동 2552-71건설부건설부2013년 12월 27일사상양헌수선정비외도이동 2552-71건설부건설부2013년 12월 27일농은거사전영준기념비오라일동 1137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오라동)2013년 12월 27일경주김씨지려중문동 27741건설부서귀포시
(중문동)2013년 12월 27일부종인 묘비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6321제주부씨대종회서귀포시
(성산읍)2014년 11월 26일


3. 1. 1. 삼도이동 비석군

삼도이동에는 조선시대 관리들의 업적을 기리는 여러 비석이 있다. 이 비석들은 2013년 12월 27일에 지정되었으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화예술과에서 관리하고 있다.

삼도이동 비석군
명칭내용
판관강재의거사비(判官姜公在毅去思碑)판관 강재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이다.
사상정기원거사비(使相鄭公岐源去思碑)사상 정기원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이다.
사상조희순영세불망비(使相趙公羲純永世不忘碑)사상 조희순의 업적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은 비석이다.
사상백희수휼민선정비(使相白公希洙恤民善政碑)사상 백희수가 백성을 구휼하고 정치를 잘한 것을 기리는 비석이다.
영상이최응영세불망비(領相李公最應永世不忘碑)영상 이최응의 업적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은 비석이다.
사상양헌수영세불망비(使相梁公憲洙永世不忘碑)사상 양헌수의 업적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은 비석이다.
수령이하개하마비(守令以下皆下馬碑)수령 이하 모든 사람은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비석이다.
사상한응호거사비(使相韓公應浩去思碑)사상 한응호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이다.


3. 1. 2. 용담1동 비석군

용담1동 비석군은 용담1동 298-1에 위치해 있으며, 제주 향교 및 교육 관련 내용이 많은 비석들이다.

용담1동 비석군 (2013년 12월 27일 지정)
번호명칭
12-8호목사김몽규존성사사비(牧使金公夢煃尊聖待士碑)
12-9호사상심영석이건향교비(沈使相英錫移建鄕校碑)
12-10호사상이행교사학개건비(李使相行敎四學改建碑)
12-11호사상장인식숭유우문비(使相張公寅植崇儒右文碑)
12-12호어사심동신거사비(御史沈公東臣去思碑)
12-13호목사조희순교궁수개비(牧使趙公羲純校宮修改碑)
12-14호목사백낙연흥학비(牧師白公樂淵興學碑)
12-15호사상홍규대사비(使相洪公圭待士碑)
12-16호목사심원택흥학비(牧師沈公遠澤興學碑)
12-17호대소인하마비(大小人下馬碑)


3. 1. 3. 이도일동 비석군

이도일동 비석군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일동에 있는 비석군이다.

번호명칭주소비고
12-18호귤림서원묘정비이도일동 1421-3귤림서원 묘정비
12-19호향현사유허비이도일동 1421-3향현사 유허비
12-20호노봉김선생흥학비이도일동 1421-3[http://jejuhistory.co.kr/bbs/view.php?id=local&no=1396]
12-21호충암김선생적려이도일동 1421-3[http://www.jejuhistory.co.kr/bbs/view.php?id=local&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395]
12-22호우암송선생적려유허비이도일동 1421-3[http://jejuhistory.co.kr/bbs/view.php?id=local&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E5%AA%26%238250%3B%EF%BF%20%26%2365533%3B%26%2365533%3Bselect_arrange=headnum&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1]
12-23호조두석유허이도일동 1421-3[http://jejuhistory.co.kr/bbs/view.php?id=local&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1]
12-24호삼성혈표지석이도일동 1313
12-25호성주왕자도내고씨곤제매안소이도일동 1313
12-26호사상이행교거사비이도일동 1313
12-27호목사장인식추사비이도일동 1313
12-28호목사이현공추사비이도일동 1313



이 비석들은 조선시대 유학자 및 제주도 설화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3. 1. 4. 기타 지역 비석

(삼양동)2013년 12월 27일사상이의식선정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2013년 12월 27일사상양헌수선정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2013년 12월 27일사상백낙연영세불망비삼양삼동 25051제주민속박물관제주시
(삼양동)2013년 12월 27일목사김정비화북일동 1619-6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화북동)2013년 12월 27일고서흥비건입동 1130-2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건입동)2013년 12월 27일사상김정청덕휼민만세불망비외도이동 2552-71건설부제주시
(외도동)2013년 12월 27일사상윤구동휼민선정비외도이동 2552-71건설부건설부2013년 12월 27일사상양헌수선정비외도이동 2552-71건설부건설부2013년 12월 27일농은거사전영준기념비오라일동 11371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오라동)2013년 12월 27일


3. 2. 서귀포시 지역 비석

번호명칭주소수량소유자관리자지정일자
12-40경주김씨지려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 27741건설부서귀포시 중문동2013년 12월 27일
12-41부종인 묘비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6321제주부씨대종회서귀포시 성산읍2014년 11월 26일



경주김씨지려와 부종인 묘비는 제주특별자치도 향토유산으로 지정된 비석들이다. 경주 김씨 지려는 2013년 12월 27일에, 부종인 묘비는 2014년 11월 26일에 지정되었다.

3. 2. 1. 중문동 비석

경주 김씨 지려(慶州金氏之閭)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 2774번지에 위치하며, 건설부가 소유하고 서귀포시 중문동에서 관리한다.

3. 2. 2. 성산읍 비석

'''부종인'''(夫宗仁) 묘비는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에 있는 비석이다. 14세기 인물인 부종인의 묘비는 고려 말~조선 초 제주 지역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014년 11월 26일에 제주특별자치도 향토유산 유형12-41호로 지정되었다.

참조

[1] 간행물 제주특별자치도 향토유산 지정 https://sido.jeju.go[...] 제주특별자치도지사 2013-12-27
[2] 간행물 제주특별자치도 향토유산 지정공고 https://sido.jeju.go[...] 제주특별자치도지사 2014-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